동남아 시장을 노리면서 전자상거래 플렛폼으로 쇼피를 선택했다. 쇼피에 입점하는 방법부터 물류배송을 정하기까지의 과정을 경험했다. 각 국가의 쇼피에 입점하는 제품의 가격은 어떻게 조정해야하는지, 어떤 물류시스템을 이용해야 배송에 유리할지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은 우리 가 해외 플렛폼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야를 넓혀주었다.
그렇다면 쇼피가 도대체 무엇이길래 우리가 선택했고 많은 사람들이 선택했을까?
쇼피란? 쇼피가 왜 좋을까?
쇼피(Shopee)는 전자 상거래를 전문으로하는 싱가포르의 다국적 기술 기업이다. 2015년 싱 가포르에 시작한 이후 필리핀, 태국, 베트남 등 해외로 확장했다. 동남아시아의 최대의 전자상 거래 플랫폼으로 월간 3억4천만명 이상이 방문한다. 동남아 시장을 노리는 사람이라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쇼피를 추천한다.
- 쉬운 가입 및 판매 등록
- 싱가포르, 베트남, 인도네시아 등 광범위한 시장 진출
- 40%가 넘는 동남아에서의 점유율
이렇게 쇼피는 동남아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플렛폼인 만큼 물류시스템, 배송시스 템도 지원을 해준다. 그럼 쇼피의 물류 시스템은 어떨까?
쇼피의 물류시스템
쇼피의 물류 시스템은 2가지가 있다. 바로 K-FBS와 SLS이다.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기 업에 더 적합한 물류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비용 그리고 시간적인 부분을 절약 할 수 있다.
K-FBS는 물류/창고 전문 업체 두라 가 셀러의 제품을 위탁받아 보관, 재고관리, 포장, cf 고, 국내배송 및 SLS로 최종 주문 처리까지 담당하는 국내 물류 일괄 대행 서비스다. 그렇기 때문에 자체적인 수수료 부담도 같이 들어간다.
SLS는 쇼피가 직접 운영하거나 물류사를 통해 제공하는 통합 배송시스템이다. 판매자가 상 품을 해외 구매자에게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.
각 방식의 공통점으로는 크로스 보더 풀필먼트라고해서 주문 발생 후, 건별로 현지로 제품을 발송한다는 것이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가지의 장단점은 확실한데, 장단점을 각각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.
K-FBS
- 물류자동화: 포장, 출고, 발송까지 쇼피가 처리
- 빠른 배송: 집하기 입고까지의 기간도 짧고, 해외 쇼피 현지 물류망에서 바로 배송가능
- 수수료발생: 보관료, 출고 수수료로인한 마진 감소
- 물류 유연성 부족: 판매량 예측실패, 재고 낭비 또는 품절 위험
SLS
- 초기비용 부담감소: 적은 물량으로 판매시작 가능
- 재고 운영 자유: 내 창고 보관이므로 유연한 출고 관리 가능
- 셀러 직접포장: 매번 포장, 출고를 직접 처리
- 배송지연: 국내 -> 해외허브> 현지 배송으로 인해 일정이 길어질 수 있음
위와 같은 장단점을 따졌을 때 기업의 크기가 크지않고 수출이 적은 기업이라면 SLS이 유리 하다고 판단된다. 반면 수출경험이 있고 기업의 크기가 크며 자동화를 선호하는 경우 SLS보 다 K-FBS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.
우리 같은 경우, 쇼피에 신규 입점하여 판매량이 적기 때문에 SLS를 선택했다가, 이후 판매 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력부족 등의 문제로 물류 자동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될 때 K-FPS로 전환하는게 좋다고 판단했다.
향후계획
동남아시아 시장을 선택한 우리는 앞으로도 쇼피를 계속해서 이용할 것이다. 가장 먼저 싱가 포르를 시작으로 태국, 베트남까지 입점할 것이다. 뿐만아니라 각 국가의 쇼피에 제품을 등록 한 후 각 국가의 환율 그리고 가격전략을 생각하여 판매가격을 정하는 일도 할 예정이다.
정수정 작성